반응형
2025 e-공직자를 위한 신목민심서 답안
- 문항수 : 25문항
- 평가시간: 60분
- 시험종류: 최종평가
- 출제방식: 랜덤출제
다음 설명이 맞으면 O, 틀리면 X를 선택하시오.
[관용차를 사적 용도로 이용하는 것은 공무원 행동강령 위반이다.]
- O
[공직자의 부패는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킬 수 있다.]
- O
[오늘날 국가 예산은 국민의 세금으로부터 나오므로 절용(節用) 즉 예산 절약의 자세가 필요하다.]
- O
[다산의 목민심서 율기6조 내용 중 `칙궁(飭躬)`은 올바른 공직자의 몸가짐을 이르는 말이다.]
- O
[다산 정약용은 목민심서를 저술하여 이를 다산 스스로 당시 사회제도 개혁에 적극 적용하여 당시 조선을 개혁할 수 있었다.]
- X
[다산 정약용은 "지혜가 높고 사려 깊은 이는 그 욕심이 크므로 청렴한 관리가 된다."라고 하였다.]
- O
[목민심서 율기6조 내용중 "병객(屛客)"은 "청탁을 물리치다."라는 뜻이다.]
- O
[조선의 멸망은 부정부패와 전혀 관계가 없다.]
- X
[국가청렴도가 상승하면 국가의 부가 상실되어 국민소득이 감소한다.]
- X
[우당 이회영은 경학사를 비롯한 20곳에 민족학교를 세웠다. 또한 신민회를 후원하고 의열단을 지원하기도 했고, 그가 세운 신흥무관학교는 이후 독립군의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전투의 주역이 되었으며 1940년대 대한광복군의 든든한 밑거름이 되었다.]
- O
[목민심서에서 "공물 보기를 사물처럼 하여야 한다."라는 의미는 공적인 물건을 자기 물건처럼 절약해서 써야 한다는 의미이다.]
- O
[청렴은 청빈과 직결되므로 현대에서도 청빈한 자를 이상적으로 보고 있다.]
- X
[학연, 지연을 통해 사람의 청탁을 들어주면 행동강령 위반이 아니다.]
- X
[공직사회에서의 청렴은 뇌물만 받지 않으면 된다는 의미에 한정된다.]
- X
[다산은 공직 사회에서 상사의 명령에 무조건 복종하는 것을 최선이라고 했다.]
- X
[정약용은 수원 화성을 쌓을 때 솔선수범의 자세로 거중기를 고안하여 많은 비용을 절약할 수 있었다.]
- O
[개인적 목적을 위해서가 아니라 공공선(common good) 혹은 공익을 위해 도덕 원칙을 위반하게 되는 행위나 상황을 "더러운 손의 법칙"이라 한다.]
- O
[다산 정약용은 저술활동은 대부분 현직관리로 있을 때 이루어졌다.]
- X
[대탐필렴(大貪必廉)은 "크게 탐하는 자는 반드시 청렴하려 한다."라는 뜻이다.]
- O
[노블레스 오블리주는 영국군이 점령한 프랑스의 도시 칼레 지도자들이 몸소 나서서 희생을 한 사건에서 비롯되었다.]
- O
[봉공6조의 요역편은 맡은 업무에 대해 회피하거나 수동적으로 행동하지 말고, 먼저 앞장서서 마땅히 할 일을 해야 한다는 뜻이다.]
- O
[목민심서 내용에는 당시 조선시대의 가혹한 현실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사례가 없고 이론 중심으로 목민관이 지켜야할 자세를 기술하고 있다.]
- X
학연, 지연 등 연줄을 이용해 공직자와 관계 맺기를 좋아하고 그 관계를 이용해 청탁해오는 자들이 있을 수 있는데, 그런 사람들과는 애초 거리를 두면서 자신의 직무를 올곧게 수행해야 함을 강조한 목민심서의 내용은?
- 1) 애민(愛民)
- 2) 병객(屛客)
- 3) 정의(正義)
- 4) 중용(中庸)
조선후기 평안도 의주에서 상업에 종사하며 자신의 능력으로 막대한 재화를 벌어 자신의 부를 기민구제를 위해 썼고, 그 공으로 상인으로서는 곽산 군수라는 공직을 겸했던 인물은?
- 1) 임상옥
- 2) 박제가
- 3) 이이
- 4) 이지함
미국의 정치행정학자 펜들톤 헤링은 “OO은 법을 집행함에 있어 공직자들을 안내해주는 하나의 표준이다.” 라고 하였다. OO에 들어갈 말은?
- 1) 사익
- 2) 공익
- 3) 이익
- 4) 철학
조선 중기의 재상 퇴계 OO은 한 서신에서, 당시 대의보다는 사적 욕심으로 공직을 매관매직하는 자들을 “지금 사람들은 부모봉양을 핑계로 의롭지 못한 녹을 받고 있다” 라고 하였다. OO에 들어갈 말은?
- 1) 이황
- 2) 이이
- 3) 조식
- 4) 성혼
다산 정약용이 거중기를 고안하여 쌓은 성은?
- 1) 한양도성
- 2) 전주성
- 3) 해미읍성
- 4) 수원화성
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는 총 몇편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 1) 10편
- 2) 12편
- 3) 14편
- 4) 16편
다산 정약용이 황해도 곡산에 내려가 농민들의 시위를 경청하고 해결한 사건은?
- 1) 이계심의난
- 2) 임꺽정의난
- 3) 홍경래의난
- 4) 이몽학의난
조선 헌종 때 용호영 장교의 행패를 엄정하게 처리했던 인물은?
- 1) 홍대용
- 2) 박지원
- 3) 정약용
- 4) 임익상
공직에 임하는 공직자의 자세를 다루는 목민심서의 내용은?
- 1) 부임6조
- 2) 진황6조
- 3) 애민6조
- 4) 호전6조
목민심서 율기6조 내용 중 “OO이란 목민관의 기본 임무이며 모든 선의 원천이요 모든 덕의 근본이다. OO하지 않고 목민관을 할 수 있는 자는 있지 않다”가 있다. OO에 들어갈 말은?
- 1) 화합
- 2) 전문성
- 3) 청렴
- 4) 능력
"제일 먼저 할 일의 선처방법을 생각하며, 다음으로 할 일의 선처방안을 생각하되, 사욕을 끊기에 힘쓰고 하나같이 천리를 따르도록 하여야 한다." 이는 무슨 자세인가?
- 1) 칙궁(飭躬)
- 2) 청렴(淸廉)
- 3) 병객(屛客)
- 4) 수신(修身)
조선 전기 성종때의 인물로 제주목사로 부임하여 아전들이 공물을 빼돌리는 관행을 척결하였고 퇴임시 제주 백성들이 그의 선정에 감화되어 말채찍을 바치고자 했던 인물은?
- 1) 정약용
- 2) 황희
- 3) 이황
- 4) 이약동
사사로운 청탁을 배격하는 자세를 의미하는 것은?
- 1) 애민(愛民)
- 2) 병객(屛客)
- 3) 정의(正義)
- 4) 중용(中庸)
다산의 목민심서 율기 6조 내용중 `예산절약` 관련된 말은?
- 1) 애민(愛民)
- 2) 병객(屛客)
- 3) 수신(修身)
- 4) 절용(節用)
"눈 쌓인 벌판을 걸어갈 때 모름지기 그릇되게 가지 말라. 오늘 나의 걷는 이 발자국이 뒤에 오는 사람들의 길이 되나니." 이 시를 쓴 사람은?
- 1) 김소월
- 2) 서산대사
- 3) 사명당
- 4) 만해 한용운
조선 후기 삼정의 문란 중 있지도 않은 땅이나 황폐한 토지에서 세금을 징수한 것을 이르는 말은?
- 1) 백지징세
- 2) 황구첨정
- 3) 백골징포
- 4) 조용조
법령의 근거 없이 타집단과 차별되는 우월적 지위를 부여하거나 공정한 경쟁을 저해하는 일체의 행위를 무엇이라 하는가?
- 1) 특혜
- 2) 복지부동
- 3) 비리
- 4) 로비
다산 정약용의 능력을 인정하고 후원한 조선시대 왕은?
- 1) 세종
- 2) 정조
- 3) 영조
- 4) 순조
목민심서에서 "다른 벼슬은 구할 수 있으나 목민관을 하겠다고 구하는 것은 옳지 않다"란 부분은 어떤 내용과 관련이 있는가?
- 1) 봉공6조
- 2) 율기6조
- 3) 애민6조
- 4) 부임6조
다산이 당시 가혹한 군정 실태를 “백성이 자신의 성기를 잘라버린 시”로 표현하였는 데 이 시의 명칭은?
- 1) 애민양
- 2) 애절양
- 3) 군정양
- 4) 애군양
목민관으로서 그 직이 전보되거나 퇴임할 때 가져야할 마음가짐과 처신에 대해 다루는 목민심서의 내용은?
- 1) 해관6조
- 2) 공전6조
- 3) 병전6조
- 4) 애민6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