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공직자를 위한 신목민심서
- 문항수 : 25문항
- 평가시간 : 60분
- 시험종류 :최종평가
- 출제방식 : 랜덤출제
- 총 응시 가능 횟수 : 3회
"눈 쌓인 벌판을 걸어갈 때 모름지기 그릇되게 가지 말라. 오늘 나의 걷는 이 발자국이 뒤에 오는 사람들의 길이 되나니." 이 시를 쓴 사람은?
1) 김소월
2) 서산대사
3) 사명당
4) 만해 한용운
다산 정약용이 황해도 곡산에 내려가 농민들의 시위를 경청하고 해결한 사건은?
1) 이계심의난
2) 임꺽정의난
3) 홍경래의난
4) 이몽학의난
목민관으로서 그 직이 전보되거나 퇴임할 때 가져야할 마음가짐과 처신에 대해 다루는 목민심서의 내용은?
1) 해관6조
2) 공전6조
3) 병전6조
4) 애민6조
일제가 조선을 강점하게 되자 우당 OOO의 형제들은 땅과 가옥 등 전재산(현재가치 600억원)을 팔아 독립운동에 헌신하였다. OOO에 들어갈 인물은?
1) 이봉창
2) 윤봉길
3) 이회영
4) 김구
다산 정약용이 거중기를 고안하여 쌓은 성은?
1) 한양도성
2) 전주성
3) 해미읍성
4) 수원화성
다산이 당시 가혹한 군정 실태를 “백성이 자신의 성기를 잘라버린 시”로 표현하였는 데 이 시의 명칭은?
1) 애민양
2) 애절양
3) 군정양
4) 애군양
조선 전기 성종때의 인물로 제주목사로 부임하여 아전들이 공물을 빼돌리는 관행을 척결하였고 퇴임시 제주 백성들이 그의 선정에 감화되어 말채찍을 바치고자 했던 인물은?
1) 정약용
2) 황희
3) 이황
4) 이약동
조선후기 평안도 의주에서 상업에 종사하며 자신의 능력으로 막대한 재화를 벌어 자신의 부를 기민구제를 위해 썼고, 그 공으로 상인으로서는 곽산 군수라는 공직을 겸했던 인물은?
1) 임상옥
2) 박제가
3) 이이
4) 이지함
사사로운 청탁을 배격하는 자세를 의미하는 것은?
1) 애민(愛民)
2) 병객(屛客)
3) 정의(正義)
4) 중용(中庸)
목민심서 율기6조 내용 중 “OO이란 목민관의 기본 임무이며 모든 선의 원천이요 모든 덕의 근본이다. OO하지 않고 목민관을 할 수 있는 자는 있지 않다”가 있다. OO에 들어갈 말은?
1) 화합
2) 전문성
3) 청렴
4) 능력
다산의 목민심서 율기6조 내용중 '칙궁(飭躬)'은 올바른 공직자의 처신, 몸가짐을 이르는 말로 현대적으로 해석하면 "OO"에 가깝다. OO에 들어갈 말은?
1) 봉사
2) 애국
3) 애민
4) 절제
조선 중기의 재상 퇴계 OO은 한 서신에서, 당시 대의보다는 사적 욕심으로 공직을 매관매직하는 자들을 “지금 사람들은 부모봉양을 핑계로 의롭지 못한 녹을 받고 있다” 라고 하였다. OO에 들어갈 말은?
1) 이황
2) 이이
3) 조식
4) 성혼
조선 후기 삼정의 문란 중 있지도 않은 땅이나 황폐한 토지에서 세금을 징수한 것을 이르는 말은?
1) 백지징세
2) 황구첨정
3) 백골징포
4) 조용조
조선 헌종 때 용호영 장교의 행패를 엄정하게 처리했던 인물은?
1) 홍대용
2) 박지원
3) 정약용
4) 임익상
미국의 정치행정학자 펜들톤 헤링은 “OO은 법을 집행함에 있어 공직자들을 안내해주는 하나의 표준이다.” 라고 하였다. OO에 들어갈 말은?
1) 사익
2) 공익
3) 이익
4) 철학
법령의 근거 없이 타집단과 차별되는 우월적 지위를 부여하거나 공정한 경쟁을 저해하는 일체의 행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특혜
2) 복지부동
3) 비리
4) 로비
학연, 지연 등 연줄을 이용해 공직자와 관계 맺기를 좋아하고 그 관계를 이용해 청탁해오는 자들이 있을 수 있는데, 그런 사람들과는 애초 거리를 두면서 자신의 직무를 올곧게 수행해야 함을 강조한 목민심서의 내용은?
1) 애민(愛民)
2) 병객(屛客)
3) 정의(正義)
4) 중용(中庸)
목민심서에서 "다른 벼슬은 구할 수 있으나 목민관을 하겠다고 구하는 것은 옳지 않다"란 부분은 어떤 내용과 관련이 있는가?
1) 봉공6조
2) 율기6조
3) 애민6조
4) 부임6조
다음 설명이 맞으면 O, 틀리면 X를 선택하시오.
[다산은 공직 사회에서 상사의 명령에 무조건 복종하는 것을 최선이라고 했다.]
정답 : X
[국가청렴도가 상승하면 국가의 부가 상실되어 국민소득이 감소한다.]
정답 : X
[중국 송나라의 정백자는 오지의 현령에 부임하게 되어 마을을 정비하는 부역이 많았는데, 그럴 때마다 몸소 나서서 감독했고 추울 때는 가죽옷을 입지 않고 더울 때에도 양산을 받치지 않았다고 한다.]
정답 : O
[목민심서 내용에는 당시 조선시대의 가혹한 현실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사례가 없고 이론 중심으로 목민관이 지켜야할 자세를 기술하고 있다.]
정답 : X
[목민심서에서 "공물 보기를 사물처럼 하여야 한다."라는 의미는 공적인 물건을 자기 물건처럼 절약해서 써야 한다는 의미이다.]
정답 : O
[청렴은 청빈과 직결되므로 현대에서도 청빈한 자를 이상적으로 보고 있다.]
정답 : X
[목민심서 율기6조 내용중 "병객(屛客)"은 "청탁을 물리치다."라는 뜻이다.]
정답 : O
[조선의 멸망은 부정부패와 전혀 관계가 없다.]
정답 : X
[공직사회에서의 청렴은 뇌물만 받지 않으면 된다는 의미에 한정된다.]
정답 : X
[다산 정약용은 저술활동은 대부분 현직관리로 있을 때 이루어졌다.]
정답 : X
[우당 이회영은 경학사를 비롯한 20곳에 민족학교를 세웠다. 또한 신민회를 후원하고 의열단을 지원하기도 했고, 그가 세운 신흥무관학교는 이후 독립군의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전투의 주역이 되었으며 1940년대 대한광복군의 든든한 밑거름이 되었다.]
정답 : O
[노블레스 오블리주는 영국군이 점령한 프랑스의 도시 칼레 지도자들이 몸소 나서서 희생을 한 사건에서 비롯되었다.]
정답 : O
[공직자의 부패는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킬 수 있다.]
정답 : O
[대탐필렴(大貪必廉)은 "크게 탐하는 자는 반드시 청렴하려 한다."라는 뜻이다.]
정답 : O
[관용차를 사적 용도로 이용하는 것은 공무원 행동강령 위반이다.]
정답 : O
[정약용은 수원 화성을 쌓을 때 솔선수범의 자세로 거중기를 고안하여 많은 비용을 절약할 수 있었다.]
정답 : O
[다산 정약용은 "지혜가 높고 사려 깊은 이는 그 욕심이 크므로 청렴한 관리가 된다."라고 하였다.]
정답 : O
[다산 정약용은 목민심서를 저술하여 이를 다산 스스로 당시 사회제도 개혁에 적극 적용하여 당시 조선을 개혁할 수 있었다.]
정답 : X
반응형
'시험 답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e-청탁금지법의 이해 답안 [2024] (0) | 2024.02.21 |
---|---|
e-사례로 배우는 청탁금지법 답안 [2024] (0) | 2024.02.20 |
e-정보공개제도의 이해 답안 [2024] (0) | 2024.02.19 |
e-부패상황 자각하기 답안 [2024] (0) | 2024.02.16 |
e-재난관리총론 답안 [2024] (0) | 2024.02.16 |